[종합원가계산] 평균법과 선입선출법, 재료투입 시점에 따른 완성도, 제2공정이 있는 경우, 공손품회계
by 펭협1. 평균법과 선입선출법
두 방법 모두 직접재료원가DM와 가공원가C.C.로 구분하여 계산한다는 점에서 같음
🖍 문제의 복잡성에 따라 추가적인 재료원가나 전공정원가가 추가될 수 있음, 그럴 경우 완성도를 가정에 따라 각각 계산해야 함)
구분 | 평균법 | 선입선출법 |
특징 | 전기+당기 짬뽕해서 단가를 계산 | 당기만 가지고 단기를 계산 |
계산방법 | 기초재공품 + 당기착수 = 완성품수량 + 기말재공품 |
2. 재료투입 시점에 따른 완성도 파악
(1) 공정초기에 전량투입
기초재공품(1), 기말재공품(1), 공손(1)
(2) 완료시점에 전량투입
기초재공품(0), 기말재공품(0), 공손(0)
(3) 다른 시점에 전량투입
재료투입시점 이후에 위치하면 1, 재료투입시점 이전에 위치하면 0
(4) 재료가 공정에 진행에 따라 균등하게 투입
완성도 = 재료원가 투입비율
3. 제2공정이 있는 경우
(1) 물량Q측면
제1공정에서 완성품 수량이 제2공정의 당기착수량이 됨
(2) 원가측면
제1공정의 완성품원가는 제2공정의 당기투입원가 중 제1공정 대체원가
(3) 완성도 측면
제2공정 기초재공품, 기말재공품, 공손의 전공정대체원가의 완성도는 100%
📝 기초재공품이 존재한다면
기초재공품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와 당기작업량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가 다를 수 있음
4. 공손품회계
(1) 공손품 회계의 가정
검사시점에서 일시에 발생(검사시점 이후에는 발생하지 않음)
🖍 원가계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가정
🖍 선입선출법에서 공손품은 모두 당기착수 물량에서 발생한 것으로 간주
(2) 정상공손수량 파악(이 부분은 평균법=선입선출법)
실제물량흐름에 근거하여야 하므로 원가흐름 가정에 관계없이 결정됨
🖍 컨베이어 벨트 그림을 그려서 파악하면 쉬움
(3) 공손원가의 회계처리
[1단계] 주어진 가정을 이용하여 정상공손수량과 비정상공손수량을 구분(평균법=선입선출법)
[2단계] 총공손원가를 계산
평균법은 전기+당기, 선입선출법은 당기
🖍 공손시점 완성도를 고려
[3단계] 총공손원가를 수량에 따라 정상공손원가와 비정상공손원가로 배분
[4단계] 2차 배분
<평균법> 전기+당기공손원가를 공손시점 통과수량에 따라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
<선입선출법> 당기공손원가를 기초재공품을 제외한 공손시점 통과수량에 따라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분
🖍 비정상공손원가는 당기비용 처리
(4) 처분가치가 있는 공손품의 회계처리
공손원가에서 공손품의 순실현가능가치를 차감하여 총공손원가를 계산
🖍 나머지 단계는 공손품이 없는 경우의 회계처리와 같음
5. 작업공정별 원가계산
제품종류와 무관하게 각 공정에서 제품1단위가 동일한 양의 자원을 소비한다면 단위당 가공원가를 이용하여 배부함
🖍 재료원가는 각 제품별 직접 추적하여 집계 후 배부
🖍 각 작업공정에 재공품이 없다면 생산량Q을 이용하여 배부하고, 재공품이 있다면 가공원가 완성품환산량을 이용
'원가관리회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계산,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이익차이 조정 (0) | 2021.12.14 |
---|---|
[연산품과 부산물] 결합원가 배분방법, 추가가공 의사결정, 부산물의 회계처리 (0) | 2021.12.14 |
[개별원가계산] 보조부문원가 배분, 제조간접원가 배부, 개별원가계산 (0) | 2021.11.04 |
[제조기업 원가의 흐름] 제조원가, 원가의 흐름, 통합계정, 현금흐름표식 풀이법, 기타 필요개념 (0) | 2021.11.04 |
[CVP분석] 개념과 기본가정, 기본공식, 응용공식, 비선형함수CVP, 전부원가CVP, 안전한계, DOL, 불확실성하CVP (0) | 2021.07.06 |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