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협동조합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계산,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이익차이 조정

by 펭협
반응형

1.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가계산

구분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초변동원가계산
제품원가로 보는 것 DM+DL+VOH+FOH DM+DL+VOH DM
기말재고원가(있는 경우) 전부원가계산 > 변동원가계산 > 초변동원가계산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액 매출액
  매출원가 변동원가 직접재료원가
  매출총이익 공헌이익 재료처리량 공헌이익
  판매관리비 고정원가
(=FOH+고정판관비)
운영비용
DL+VOH+FOH+판관비
  이익 이익 이익
생산량 증가에 따라 이익 증가 이익 불변 이익 감소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와 조업도차이 발생여부 발생 N/A N/A
장점 1. GAAP 인정(외부보고목적, 세법상 인정)
2. 제조간접원가 구분 불필요
3. 고정제조간접원가도 장기적으로 회수가 필요한 비용
1. 생산량 중립적
2.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문제 발생하지 않음
1. 생산량 증가시 이익이 감소하므로 재고누적 방지효과가 가장 큼
2. 직접재료원가 외에는 기간비용처리하므로 원가구분 불필요(회계처리 간단)
단점 1. 생산량 증가를 통한 이익조작 가능성
2. 고정제조간접원가의 배부차이 조정문제 발생
1. GAAP에서 불인정
2. 원가를 변동원가와 고정원가 구분하는 것이 어려움
3. 고정제조간접원가도 장기적으로 회수해야 할 비용
1. GAAP에서 불인정
2. 미래불확실성 대비라는 재고의 긍정적 기능을 간과함
3. 제품가격 설정에 도움이 안됨

🖍 재공품이 존재하는 경우 수량 대신 완성품 환산량 사용

 

2.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실제원가 변동예산 배부액
기말 현실 기초 뇌피셜 기말 뇌피셜
실제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 재공품 계정 차변 배부액
AQxAP SQxSP AQxSP
  예산
(소비
차이
차이)
조업도 차이  

🖍 전부원가계산에서만 발생하는 문제

🖍 SP =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 / 기준조업도

🖍 기준조업도 > 실제산출량이면 과소생산(불리한 조업도 차이), 반대면 충분히 생산(유리한 조업도 차이)

 

3. 이익차이 조정

초변동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초변동원가계산의 이익 변동원가계산의 이익
+ 기말 재공품, 제품의 변동가공원가(DL+VOH) +기말 재공품, 제품의 FOH
- 기초 재공품, 제품의 변동가공원가(DL+VOH) - 기초 재공품, 제품의 FOH
변동원가계산의 이익 전부원가계산의 이익

🖍 변동원가계산의 이익 = (판매가격 - 단위당 변동원가) x 판매수량 - 고정원가총액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