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기준원가계산ABC] 전통적인 원가계산과 비교, 도입배경, 활동의 유형 및 원가계층, 활동기준원가계산 과정
by 펭협반응형
1. 전통적인 원가계산과 비교
구분 | 전통적인 원가계산 | 활동기준원가계산 |
기본가정 | 제품이 자원을 소비함 | 활동이 자원을 소비함 (제품은 활동을 소비함) |
원가집합 | 공장전체 또는 각 부문 | 각 활동별 |
배부기준 | 생산량 | 활동별 원가동인 (비단위수준 원가동인도 가능) |
장점 | 익숙, 간편 | 정확, 활동분석을 통한 비재무적 측정치 제공, 비부가가치세 제거를 통한 원가절감 가능 |
단점 | 부정확, 비재무적 측정치 제공불가 | 많은 시간과 비용, 설비유지활동 수준 원가배분은 여전히 부정확, 원가절감을 위한 원가동인수 감소 가능성(재고자산 증가 가능성) |
📝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도입배경
- 제조원가 중 제조간접원가 비중이 커짐
- 원가정보 수집비용이 낮아짐(빅데이터)
- 고객욕구의 다양화(소품종 대량생산체제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3. 활동의 유형 및 계층
활동구분 | 기준단위 | 예시 |
단위수준활동 | 생산량Q에 비례 | 기계활동, 노동활동, 제품검사활동(전수검사) |
묶음수준활동 | 묶음수(배치)에 비례 | 기계가동준비활동, 자재이동활동, 구매주문활동, 제품검사활동(표본검사) |
제품유지활동 | 제품종류수에 비례 | 제품설계활동, 제품개량활동 |
설비유지활동 | 원가동인을 파악하기 어려움(자의적인 배부) | 공장관리활동, 건물관리활동 |
4. 활동기준원가계산 과정
- 활동분석
- 분석된 자료로 활동중심점 설정
- 활동중심점별 원가집계
- 집계된 원가를 제품에 배부할 원가동인의 선정
- 활동중심점별 제조간접원가를 원가동인수로 나누어 배부율을 계산
- 계산된 배부율을 바탕으로 원가를 제품에 배부
5. 미사용활동능력(미사용활동원가)
활동시간을 기준으로 활동원가를 계산하는 방법
반응형
'원가관리회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련원가] 관련원가의 범위, 증분수익법, 유형별 관련원가분석, 복잡한 관련원가분석 (0) | 2021.12.16 |
---|---|
[원가추정] 원가함수 추정방법, 학습곡선 모형 (0) | 2021.12.16 |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계산,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이익차이 조정 (0) | 2021.12.14 |
[연산품과 부산물] 결합원가 배분방법, 추가가공 의사결정, 부산물의 회계처리 (0) | 2021.12.14 |
[종합원가계산] 평균법과 선입선출법, 재료투입 시점에 따른 완성도, 제2공정이 있는 경우, 공손품회계 (0) | 2021.12.13 |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