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추정] 원가함수 추정방법, 학습곡선 모형
by 펭협반응형
1. 원가함수 추정방법
(1) 전통적인 원가함수
조업도와 총원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
Y = a + b*X # a는 고정원가, b는 단위당 변동원가(기울기)
🖍 관련범위 내에서 원가함수가 선형이라고 가정
🖍 조업도를 독립변수(X)로 놓고 총원가를 종속변수(Y)로 놓음
🖍 단위당 변동원가와 고정원가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가정함
(2) 고저점법
최고조업도와 최저조업도를 기준점으로 잡고 두 점 사이의 관계식을 추정하는 방법
b(단위당 변동원가) = (최고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최저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최고조업도 - 최저조업도)
a(고정원가) = 최고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b * 최고조업도
= 최저조업도에서의 총원가 - b * 최저조업도
🖍 최고총원가와 최저총원가가 아님에 주의
🖍 총원가 대신 총제조원가를 사용하면 b는 단위당 변동제조원가, a는 총고정제조원가가 됨
🖍 총원가 대신 총제조간접원가를 사용하면 b는 단위당 변동제조간접원가, a는 총고정제조간접원가가 됨
2. 학습곡선 모형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효과로 단위당 노동시간이 감소하기 때문에 비선형관계가 나타남
🖍 생산량과 총원가 사이에 선형관계가 성립하지 않음
(1) 누적평균시간 학습모형
누적생산량이 2배가 될 때 단위당 누적평균시간(원가)에 일정한 학습률이 적용됨
총원가 계산 = 누적생산량 * 단위당 누적평균시간
🖍 총원가는 학습효과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의 단위당 누적평균시간과 생산량의 곱에 2*학습률^n를 다시 곱한 값임
(2) 증분단위시간 학습모형
누적생산량이 2배가 될 때 증분단위시간에 일정한 학습률이 적용됨
총원가 = ∑ 증분단위원가
반응형
'원가관리회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성과표 작성, 최적대안 선택, 완전정보의 기대가치 (0) | 2021.12.16 |
---|---|
[관련원가] 관련원가의 범위, 증분수익법, 유형별 관련원가분석, 복잡한 관련원가분석 (0) | 2021.12.16 |
[활동기준원가계산ABC] 전통적인 원가계산과 비교, 도입배경, 활동의 유형 및 원가계층, 활동기준원가계산 과정 (0) | 2021.12.14 |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계산,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조정, 이익차이 조정 (0) | 2021.12.14 |
[연산품과 부산물] 결합원가 배분방법, 추가가공 의사결정, 부산물의 회계처리 (0) | 2021.12.14 |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