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자산] 취득원가, 기말 재고자산 평가, 소매재고법
by 펭협1. 취득원가의 결정
매입원가, 전환원가 그리고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데 발생한 기타원가
🖍 표준원가법이나 소매재고법도 실제원가와 유사한 경우 편의상 사용가능
🖍 후불조건 취득시 금융요소는 이자비용으로 인식(정상가액과 실제지급액 간의 차이)
🖍 기타원가는 수입관세, 제세금, 매입운임, 하역료 등
🖍 제조간접원가 배분시 정상조업도가 디폴트지만 실제조업도 사용가능
2. 기말 재고자산 평가
(1) 기말재고 평가방법
기초재고 + 당기매입 = 판매가능재고 = 매출원가 + 기말재고
🖍 Q결정방식은 실사법과 계속기록법
🖍 P산정방식은 개별법, 가중평균법, 선입선출법
(2) 수량의 결정
1) 실사법과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은 실시간 업데이트(매출원가를 파악하고 나머지는 기말재고), 계속기록법(기말재고를 파악하고 나머지는 매출원가)
2) 기말 재고자산에 포함할 항목
판매자의 수익인식 여부에 따라 재고자산에 포함하거나 제외함
🖍 반품권이 부여된 판매는 반환제품회수권으로 표시하므로 재고자산에서 제외(수익인식여부 무관)
🖍 선적지 인도조건은 배 타는 시점에 인도, 도착지 인도조건은 배가 도착할 때 인도
(3) 단위원가의 결정
개별법, 가중평균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 후입선출법은 K-IFRS에서 허용하고 있지 않음(후입선출 청산현상, 불건전한 구매관습, 낮은 당기순이익, 실제물량흐름과 불일치)
(4) 원가흐름 가정 간 크기비교(물가상승 가정)
기말재고자산(FIFO>MAVG>AVG>LIFO, 이익은 반대)
(5) 저가법(비대칭적 회계처리)
장부수량 재고금액, 실제수량 재고금액, 순실현가능가치 평가액
🖍 사유는 물리적 손상 또는 진부화, 시장가격 하락
🖍 장부수량 재고금액과 실제수량 재고금액 차이는 감모손실, 실제수량 재고금액과 순실현가치 평가액 간의 차이는 평가손실(재고자산평가충당금)
🖍 원재료는 NRV로 현행대체원가로 사용함(단 최종완성제품이 원가 이상 판매되는 경우 저가법을 적용하지 않음)
🖍 계약수량이 있는 경우 계약수량만큼은 계약가격을 기초로 평가하고 계약수량 초과분은 일반 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측정
3. 소매재고법
(1) 의의
매가 자료를 기반으로 기말재고를 매개로 하여 원가 자료를 추측하는 방법
🖍 매가에서 원가로 넘어갈 때 과거 자료로 산정된 원가율을 사용(평균원가법은 기초재고를 포함하여 계산하고, 선입선출법은 당기매입분만 원가율 산정시 반영함)
🖍 저가주의는 순인하액을 제외하고 원가율을 산정함
(2) 특수한 항목의 고려
차변 | 대변 |
기초재고 | 매출원가(순매출액, 판매부대비용은 판관비라서 고려대상x) |
순매입(총매출+운임-에누리및할인-매입환출) | 정상파손 |
(-) 비정상파손 | 종업원할인(매가에서만 고려) |
+순인상-순인하(순인하는 저가주의 적용시 고려하지 않음) | 기말재고 |
(3) 원가율의 계산
분자(원가) : 기초재고 + 당기순매입 - 비정상파손
분모(매가) : 기초재고 + 당기순매입 + 순인상 - 순인하 - 비정상파손
🖍 저가주의는 순인하액을 제외하고 원가율을 산정함
'재무회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형자산] 최초인식, 후속측정(원가모형, 재평가모형), 정부보조, 복구비용, 기타취득(교환, 할부구입, 현물출자, 무상취득) (0) | 2021.12.03 |
---|---|
[농림어업] 의의, 생물자산과 수확물, 생산용식물, 생물자산의 인식과 측정 (0) | 2021.12.02 |
[건설계약] 계약수익, 계약원가, 원가기준, 기타사항 (0) | 2021.11.30 |
[수익] 거래형태별 수익 (0) | 2021.11.24 |
[수익] 계약원가와 표시 (0) | 2021.11.24 |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