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어업] 의의, 생물자산과 수확물, 생산용식물, 생물자산의 인식과 측정
by 펭협반응형
1. 농림어업활동 의의
농작물을 팔거나 추가적 생물자산으로의 전환목적으로 생물자산을 관리하는 활동
📝 농림어업활동의 특성
변환능력, 변화의 관리(원양어업, 천연림 별채와 같이 관리하지 않은 생물자원을 수확하는 것은 농림어업활동이 아님), 변화의 측정
2. 생물자산과 수확물
(1) 생물자산(생산용 식물 제외)
살아있는 동물이나 식물(생산용식물의 생산물도 포함)
(2) 수확물
생물자산에서 수확한 생산물
3. 생산용 식물(유형자산 분류)
수확물 생산 또는 공급하는데 사용, 한 회계기간을 초과하여 사용, 수확물 판매될 가능성이 희박함
🖍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함
📝 생산용 식물이 아닌 경우
수확물로 수확하기 위한 재배식물, 판매도 하고 수확물도 얻기 위해 재배하는 식물, 한해살이 식물(한 회계기간 초과하여 사용되지 않음)
4. 인식과 측정
구분 | 최초인식 | 후속측정 |
생물자산 | 순공정가치 | 순공정가치 |
수확물 | 순공정가치 | 원가 (최초인식 시점의 순공정가치) |
생산용 식물(유형자산임) | 원가 | 감가상각 |
🖍 공정가치의 신뢰성 있는 측정이 불가한 경우 원가측정 및 감가상각(손상도 인식, 최초인식시점에만 가능)
🖍 수확물의 순공정가치는 항상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고 가정함
5. 생물자산 정부보조금
조건이 없으면 수취시점, 조건이 있으면 충족시점에 수익인식
🖍 시간에 경과에 따라 귀속되는 경우 시간경과에 비례하여 수익인식
🖍 감가상각비와 상계하거나 별도의 수익으로 인식하거나 선택
반응형
'재무회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입원가 자본화] 차입원가, 차입원가 자본화 (0) | 2021.12.03 |
---|---|
[유형자산] 최초인식, 후속측정(원가모형, 재평가모형), 정부보조, 복구비용, 기타취득(교환, 할부구입, 현물출자, 무상취득) (0) | 2021.12.03 |
[재고자산] 취득원가, 기말 재고자산 평가, 소매재고법 (0) | 2021.12.01 |
[건설계약] 계약수익, 계약원가, 원가기준, 기타사항 (0) | 2021.11.30 |
[수익] 거래형태별 수익 (0) | 2021.11.24 |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