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협동조합

[자본] 자본의 기초, 자본거래, 손익거래

by 펭협
반응형

1. 자본의 기초

(1) 자본거래와 손익거래

자본거래는 현재 또는 잠재적 주주와의 거래, 손익거래는 자본거래 이외의 모든 거래(총포괄손익에 반영)

 

(2) 자본의 표시(기업마다 다르게 구성 가능)

납입자본,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3) 주식의 종류

1) 보통주와 우선주

보통주는 기본적인 소유권을 나타내는 주식(잔여지분),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우선적인 권리가 부여된 주식

 

2) 배당금의 배분

① 과거분 배당

비누적적 우선주(과거 미배당분은 소멸함), 누적적 우선주(과거 미배당분 우선 배당)

② 당기분 배당

비참가적 우선주, 부분참가적 우선주(완전참가적 배당금에 캡을 씌운 것), 완전참가적 우선주(최소배당률과 가용배당금을 자본금 비율로 안분한 것)

 

2. 자본거래

(1) 자본을 직접 계산하는 3가지 사례(NOT 반대편)

출자전환을 받는 경우(상대방이 금융상품이라 지분의 가치를 직접 측정), 주식기준보상(노동력을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지분가치를 직접 측정), 사업결합

 

(2) 유상증자

발행가능총수는 정관에 기재, 액면주식(100원 이상)과 무액면주식이 있음(액면이 디폴트, 병행불가), 공시(보통주와 우선주를 구분하여 공시, 주식의 발행금액은 납입자본으로 보고)

🖍 무액면주식 발행금액 중 1/2 이상 금액을 자본금으로 계상

🖍 액면금액과 발행금액의 차이(주발초 또는 주할차)는 발생순서에 관계없이 서로 상계

🖍 거래원가는 주식의 발행금액에서 차감(중도포기분은 당기비용 처리)

🖍 청약발행시 신주청약증거금은 옵션임(주식발행금액 = 신주청약증거금 + 잔금), 청약미이행시는 3가지 옵션을 가짐(증거금만큼 보통주 발행, 증거금 몰수시 몰수금액은 자본항목, 증거금 반환은 반환시점까지는 부채임)

🖍 현물출자는 비화폐성 자산의 공정가치(지급한 주식의 공정가치 측정불가), 출자전환은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로 측정(금융상품은 상대편의 공정가치로 측정)

 

(3) 유상감자

유상감자대가와 최초발행금액과의 차액으로 감자차손과 감자차익을 계산(미국기준)

 

(4) 무상증자와 무상감자

무상증자는 주발초나 이익준비금을 자본금에 전입하는 것(자본금이 증가), 무상감자는 주당 액면금액의 감액이나 주식수를 일정비율로 감소시키는 것(형식적 감자로 감자대가가 없으므로 감자차익만 발생)

 

(5) 자기주식

자기주식을 자산으로 보는 방법이 있고 비망기록하는 방법이 있음

📝 자기주식을 자산으로 보지 않는 근거

자신이 자기의 소유주가 될 수 없음, 주주권리 제한, 자기주식의 취득은 불입자본의 환급

📝 비망기록으로 회계처리하는 이유

자산과 부채의 변동이 없음(따라서 자본의 변동이 없음)

🖍 미국기준에서는 취득시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봄(NOT 실제 지급한 대가)

🖍 취득원가를 처분금액과의 차이를 처분이익이나 처분손실을 인식

🖍 미국식 회계처리는 자기주식의 취득과 처분을 액면가액을 기준으로 측정(액면금액과 취득금액과의 차액은 주발초를 조정하고 자기주식잉여금으로 계상)

 

(6) 상환우선주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경우 금융부채로 봄, 금융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자본으로 봄

🖍 금융부채로 보는 경우 비누적적 우선주는 만기상환금액의 현재가치(배당금은 이익의 처분으로 인식), 누적적 우선주는 상환금액과 배당의 현재가치(사실상 사채랑 같음, 배당금은 이자비용으로 인식)

🖍 비누적적 상환우선주는 자본요소와 부채요소를 동시에 가지는 복합금융상품

 

3. 손익거래

(1) 법정 강제하는 적립금

이익준비금(주식배당을 제외한 이익배당액의 10% 이상을 자본금의 절반에 달할 때까지 강제적립, 자본전입이나 결손보전에만 이용), 임의적립금(배당압력을 회피하기 위함)

 

(2) 배당금

배당선언일에 미지급배당금을 인식하고 배당금지급일에 현금을 지급(배당기준일에는 회계처리 없음)

📝 배당의 종류

현금배당(배당선언일에 회계처리), 현물배당(분배될 자산의 공정가치로 측정), 주식배당(액면금액 배당, 주식배당은 이익배당 총액의 1/2을 초과할 수 없음)

🖍 중간배당은 이사회 결의로 배당(현금배당과 현물배당만 가능, 이익준비금 적립해야 함), 청산배당(이익잉여금의 잔액을 초과하여 배당)

 

(3) 이익잉여금의 회계처리

이월이익잉여금의 변동

이월이익잉여금의 변동
전기이월이익잉여금 XXX
+ 당기순이익 XXX
- 중간배당 XXX
+ 재평가잉여금의 이익잉여금 대체 XXX
미처분이익잉여금(여기까지가 당해연도) XXX
+ 임의적립금 이입액 XXX
처분가능 이월이익잉여금 XXX
- 연차배당(이익배당 및 주식배당) XXX
- 이익준비금 및 임의적립금 적립 XXX
- 기타의 이익잉여금 처분 XXX
차기이월 이익잉여금 XXX

 

(4) 자본변동표

1) 자본변동표란?

자본 변동의 세부사항을 보여줌

 

2) 자본변동표의 구성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3) 자본변동표 중 이익잉여금의 변동

이익잉여금의 변동
전기초 이익잉여금 XXX
± 회계정책의 변경 XXX
± 중요한 전기오류수정손익 XXX
재작성된 금액 XXX
+ 전기순이익 XXX
+ 재평가잉여금의 이익잉여금 대체 XXX
- 중간배당, 연차배당 및 기타 처분 (XXX)
전기말 이익잉여금 XXX
+ 당기순이익 XXX
+ 재평가잉여금의 이익잉여금 대체 XXX
- 중간배당, 연차배당 및 기타 처분 (XXX)
당기말 이익잉여금 XXX

🖍 이익준비금 및 임의적립금의 적립, 임의적립금의 이입은 이익잉여금의 변동이 없으므로 반영하지 않음

자본의 증가 자본의 감소
유상증자(자본의 유입) 유상감자(자본의 유출)
자기주식 처분 자기주식 취득
  이익배당(중간배당 포함, 주식배당 제외)
당기순이익 기타포괄손익의 변동(재평가잉여금, FVOCI의 평가손익)
복합금융상품 발행시 자본요소  
자본요소 옵션의 행사(전환권, 신주인수권, 주식선택권)  

🖍 자기주식의 소각은 변동 없음

🖍 무상증자, 무상감자, 주식배당, 주식분할 및 병합은 변동 없음

🖍 임의적립금의 이입이나 처분도 변동 없음

🖍 옵션의 행사의 경우 권리행사시의 잔금만큼 자본이 증가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