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의 기초] 재무관리의 목표, 화폐의 시간가치, 재무적 현금흐름
by 펭협1. 재무관리의 목표
기업의 투자(자본예산)와 자본조달에 관한 의사결정
🖍 기업재무(투자안의 자본가치, 자본구조이론, 배당정책 등)와 재무학(선물, 옵션, 스왑 등)
(1) 장부가액과 내재가치, 그리고 시장가치
재무상태표 | |
자산(장부가치) | 부채 |
자본(장부가치) | |
NPV |
$$ V = B + S(BV) + NPV $$
재무상태표 | |
자산(시장가치) | 부채 |
자본(장부가치) | |
NPV |
$$ V = B + S(IV) $$
🖍 장부가치BV(회계적 가치), 내재가치IV(재무적 가치, 이론적 가치), 시장가치MV(시장에서 거래되는 가치)
$$\begin{split}
V & = B + S(BV) + NPV \\
& = B + S(IV)
\end{split}$$
📝 1주당 기준
$\begin{split}
S(IV) \div n & \lesseqqgtr P^* (IV) \\
& \lesseqqgtr P_0(MV)
\end{split}$
(2) 재무관리의 목표
기업가치 극대화(Max V) = 자산가치의 극대화(Max A) = 타인자본+자기자본 가치의 극대화(Max B+S) = 자기자본 가치의 극대화(부채가치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 Max S) = NPV 극대화(Max NPV) = 자본비용(Min $k_0$)의 최소화(동전의 양면)
(3) 회계적 이익의 문제점
이익의 개념이 모호,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음,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음
2. 화폐의 시간 가치
📝 화폐의 시간가치가 존재하는 이유(현재의 1원 > 미래의 1원)
실물투자 기회,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유동성 선호
🖍 원숭이는 화폐의 시간가치를 알고 있었음
(1)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계산
(2) 미래가치 계산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1+k)^n$을 곱한 값
(3)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되돌리기
미래가치를 $(1+k)^n$으로 나눈 값
(4) 연금의 현재가치 계산
1) 영구연금현가
$ CF \div k $
🖍 성장형 연구연금은 $ CF_1 \div (k - g) $
2) 연금현가(n년)
영구연금현가에서 연금이 끝나는 시기의 영구연금현가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값
📝 성장형 영구연금현가(k>g)
3) 응용된 연금
현금흐름이 특정 시점 이후에 시작되는 경우
📝 풀이법
<1단계> t시점의 연금현가를 계산, <2단계> 1단계에서 계산한 연금현가의 현재가치를 계산
🖍 위 식들은 모두 기말연금을 기준으로 작성된 식(기초연금은 기말연금에 (1+k)를 곱하면 됨
(5)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1+R) = (1 + r) (1 + \pi) $
🖍 R은 명목이자율, r은 실질이자율 $\pi$는 기대인플레이션율
시차선호 | 실물투자기회 | 인플레이션 | 불확실성 |
실질이자율r | |||
명목이자율R | 위험프리미엄r.p. | ||
할인율 |
📝 72룰
원금이 2배가 되는 걸리는 시간(이자율이 2%라면 2배가 되는데 72/2≌36년)
(6) 이산복리 실효이자율과 연속복리 실효이자율
1) 이산복리 실효이자율
명목이자율을 연이자지급 횟수로 나누고 다시 1을 더한 후 이자지급횟수로 제곱한 값
2) 연속복리 실효이자율
3. 재무적 현금흐름
자산 현금흐름(FCFF) | 청구권자 현금흐름(FCFD + FCFE) |
1. $ OCF = EBIT(1-t) + D $ | $$ I - \Delta NCL \quad \cdots \quad FCFD $$ |
2. $ - \Delta NWC $ | |
3. $ - \Delta NCA + D $ | $$ NI - \Delta S \quad \cdots \quad FCFE $$ |
4. $ I \cdot t $ |
🖍 이자비용의 절세효과는 $k_d(1-t)$로 할인율에 반영하거나 현금흐름(분모)에 $I \cdot t$를 가산함(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할인율에 반영함)
🖍 자산측 현금흐름을 통합하여 '$ FCFF = EBIT(1-t)-\Delta A $'로 표시할 수도 있음(여기서 $ \Delta A$는 총자산에서 비이자발행부채와 비영업자산을 차감한 값)
📝 비이자발생부채와 비영업자산
유동부채(e.g. 매입채무, 미지급비용), 비영업자산(e.g. 투자부동산, 투자자산, 건설중인부동산 등)
'재무관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모형과 자본구조이론] 레버리지도, 하마다모형, 원천별 자본비용, MM모형과 전통적 자본구조이론, 현대 자본구조이론 (0) | 2021.12.20 |
---|---|
[CAPM과 APT] 마코위츠 모형, CAPM, CML, SML, CAPM가정의 현실화, APT (0) | 2021.12.20 |
[위험과 포트폴리오 이론]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기대효용이론, 평균-분산모형, 포트폴리오 이론, 마코위츠의 완전공분산모형, 샤프의 시장모형, 마코위츠 모형과 샤프 모형의 비교 (0) | 2021.12.20 |
[자본예산] 자본예산, 순현재가치, 투자수익률, 투자안의 경제성 분석, 피셔의 분리정리 (0) | 2021.12.20 |
[주식가치평가] 절대가치 평가법, 상대평가방법, ROI 및 ROE 분석 (0) | 2021.12.20 |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