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협동조합

[리스와 VaR] 리스, VaR

by 펭협
반응형

1. 리스

(1) 자산을 리스하는 경우

 

(2) 자산을 직접 구매하는 경우

 

(3) 리스이용자의 순현금흐름

🖍 리스대상자산의 가격 - 부채대체효과

🖍 할인율은 세후타인자본비용을 사용함에 주의

 

2. VaR(Value at Risk)

(1) VaR의 개념

보유한 포트폴리오에서 일정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최대손실 가능액

 

(2) VaR의 특징

  1. VaR은 측정기간에 비례하여 커짐
  2. 더 높은 신뢰기간을 설정할수록 커짐
  3. 포토폴리오의 VaR은 각 개별자산의 VaR합보다 작거나 같음(포트폴리오 효과)

 

(3) VaR의 측정

수익률분포, 보유기간, 신뢰수준이 결정되면 VaR 계산가능(평균기준 또는 절대기준)

📝 보유기간이 1년이 아닌 경우 수익률의 조정

$ r_{1년}=2r_{6개월}=4r_{3개월}=12r_{1개월} $

📝 보유기간이 1년이 아닌 경우 분산의 조정(표준편차가 아닌 분산이 선형으로 증가함)

$ \sigma_{1년}^2=2\sigma_{6개월}^2=4\sigma_{3개월}^2=12\sigma_{1개월}^2 $

1) 평균기준

평균기준VaR = 기대가치 - 최소가치 = $ E(W) - W_{min} $

 

2) 절대기준

절대기준VaR = 현재가치 - 최소가치 = $ W_0 - W_{min} $

 

(4) 포트폴리오 VaR

$ VaR_p = \sqrt{VaR_1^2+VaR_2^2+2(VaR_1)(VaR_2)\rho_{12}} $

🖍 $ (VaR_1+VaR_2)-VaR_p$

 

(5) VaR의 유용성

  1. 서로 다른 상품의 포지션 위험을 비교가 쉬운 화폐금액으로 측정(투자자 이해가능성과 상품간 비교가능성 증가)
  2. 화폐금액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가치의 가법성 성립
  3. 구체적인 수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위험 대비 성과측정이 용이
  4. 감독당국이 규제수단으로 활용 가능
  5. 손실측면만 위험으로 보기 때문에 위험의 정의에 부합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