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협동조합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의 제거] 내부거래의 기초,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의 제거, 재고자산을 판매하고 유형자산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타 내부거래, 내부미실현손익과 자본항목

by 펭협
반응형

1. 내부거래의 기초

(1) 의의

1) 하향거래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판매하는 경우(전부 다 지배주주분)

2) 상향거래

종속기업이 지배기업에 판매하는 경우(지배주주분과 비지배주주분이 혼합)

 

(2) 내부거래의 제거

1) 내부거래 미실현손익의 제거

외부로 판매되거나 비용화되는 경우(실현된 경우) 제거할 손익은 없지만, 해당 내부거래 자산이 연결실체에 남아있는 경우 미실현손익을 제거함

📝 미실현손익이 아닌 경우

자산손상에 해당하거나 지배력 획득 전 거래인 경우(지배력 획득 전이므로 내부거래 자체가 아님)

 

2) 채권채무의 상계제거와 수익비용의 상계제거

연결실체 내 기업간 채권채무를 인식하거나 수익비용을 인식한 경우 기말잔액을 상계제거함

🖍 전기분은 자동조정되므로 당기분만 제거함에 주의

 

2. 내부거래와 미실현손익의 제거(재고자산, 비상각자산거래, 상각자산거래, 사채거래)

(1) 내부거래 발생한 회계연도

1) 내부거래 발생 회계연도에 외부 판매시(하향거래)

원가 80인 자산을 ₩100에 판매한 경우(외부에 ₩120에 판매)

연결제거분개(매출 취소, 매출원가 취소)
(차) 매출 100 (대) 매출원가 100

 

2) 내부거래 발생 회계연도 말에 계속 보유중인 경우(하향거래)

📝 원가 ₩80인 자산을 ₩100에 판매한 경우

연결제거분개(매출 취소, 매출원가 취소)
(차) 매출 100 (대) 매출원가 100
     매출원가 20       재고자산
      (미실현이익)
20

📝 장부금액 ₩80을 토지를 ₩100에 판매한 경우

비상각자산 연결제거분개(처분이익 취소, 토지 줄여줌)
(차) 유형자산처분이익 20 (대) 토지 20

📝 장부금액 ₩80(취득금액 200, 감가상각누계액 ₩120)의 감가상각자산(잔존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0, 정액법)을 ₩100에 판매한 경우

상각자산 연결제거분개
(차) 기계장치 100 (대) 감가상각누계액 120
      유형자산처분이익 20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감가상각비 5

📝 액면금액 ₩1000인 사채(장부금액 ₩970)를 ₩940에 취득하고 상각후원가 측정 범주로 분류함, 표시이자는 ₩100을 지급하며 지배기업은 ₩110의 이자비용을 인식하고 종속기업은 ₩120의 이자비용을 인식함(정액법 가정)

사채거래 연결제거분개(AC)
(차) 사채 1000 (대) 사할차 30
         AC 940
         사채상환이익 30
(차) 이자수익 120 (대) 이자비용 110
     사할차 10    
사채거래 연결제거분개(FVOCI)
(차) 사채 1000 (대) 사할차 20
      금융자산평가이익 10       FVOCI 970
(차) 이자수익 120 (대) 이자비용 110
         이익잉여금 20

🖍 내부거래가 발생한 회계연도에는 하향거래와 상향거래 연결제거분개가 동일함

 

3) 내부미실현손실이 자산손상에 해당하는 경우

📝 원가 ₩120인 자산을 ₩100에 판매한 경우(단 기말에 손상징후가 있고 순실현가능가치가 ₩100인 경우)

연결제거분개(매출 취소, 매출원가 취소)
(차) 매출 100 (대) 매출원가 100
     재고자산 20       매출원가 20
     재고자산평가손실 20       재고자산평가충당금 20

 

(2) 내부거래 발생 이후 회계연도

1) 내부거래 발생한 이후 외부판매시(실현된 경우)

감가상각자산의 경우 기말 처분을 가정함

재고자산 연결제거분개(이익잉여금 줄여줌, 매출원가 줄여줌) - 하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20 (대) 매출원가 20
재고자산 연결제거분개(이익잉여금 줄여줌, 매출원가 줄여줌) - 상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16 (대) 매출원가 20
     비지배지분 4    

🖍 용역을 제공하고 즉시 소비하는 경우 실현된 경우로 봄

유형자산 연결제거분개(처분이익 취소, 토지 줄여줌) - 하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20 (대) 유형자산처분이익 20
유형자산 연결제거분개(처분이익 취소, 토지 줄여줌) - 상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16 (대) 유형자산처분이익 20
     비지배지분 4    
상각자산 연결제거분개 - 하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20 (대) 유형자산처분이익 20
(차) 유형자산처분이익 5 (대) 이익잉여금 5
(차) 유형자산처분이익 5 (대) 감가상각비 5
상각자산 연결제거분개 - 상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20 (대) 유형자산처분이익 20
(차) 유형자산처분이익 5 (대) 이익잉여금 5
(차) 유형자산처분이익 5 (대) 감가상각비 5
(차) 비지배지분 3 (대) 이익잉여금 3
사채거래 연결제거분개(AC) - 하향거래
(차) 사채 1000 (대) 사할차 10
          AC 980
(차) 이자수익 120 (대) 이자비용 110
         이익잉여금 20
사채거래 연결제거분개(AC) - 상향거래
(차) 사채 1000 (대) 사할차 10
          AC 980
(차) 이자수익 120 (대) 이자비용 110
         이익잉여금 16
         비지배지분 4

 

2) 내부거래 발생 이후 해당 자산을 계속 보유시(실현되지 않은 경우)

재고자산 연결제거분개(이익잉여금 줄여줌, 매출원가 줄여줌) - 하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20 (대) 재고자산 20
재고자산 연결제거분개(이익잉여금 줄여줌, 매출원가 줄여줌) - 상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16 (대) 재고자산 20
     비지배지분 4    
유형자산 연결제거분개(처분이익 취소, 토지 줄여줌) - 하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20 (대) 토지 20
유형자산 연결제거분개(처분이익 취소, 토지 줄여줌) - 하향거래
(차) 이익잉여금 16 (대) 토지 20
      비지배지분 4    
상각자산 연결제거분개 - 하향거래
(차) 기계장치 100 (대) 감가상각누계액 120
      이익잉여금 20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이익잉여금 5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감가상각비 5
상각자산 연결제거분개 - 상향거래(비지배지분 20%)
(차) 기계장치 100 (대) 감가상각누계액 120
      이익잉여금 20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이익잉여금 5
(차) 비지배지분 3 (대) 이익잉여금 3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감가상각비 5

 

3. 재고자산을 판매하고 유형자산으로 사용하는 경우

(1) 내부거래가 발생한 회계연도

원가 ₩80의 재고자산을 ₩100에 판매하였으며, 종속기업은 이를 기계장치(잔존 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0, 정액법)로 분류하는 경우

판매자체는 재고자산이지만 그 후의 상각은 유형자산임
(차) 매출 100 (대} 매출원가 100
(차) 매출원가 20 (대) 기계장치 20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감가상각비 5

 

(2) 내부거래가 발생한 다음 회계연도

판매자체는 재고자산이지만 그 후의 상각은 유형자산임
(차) 이익잉여금 20 (대) 기계장치 20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이익잉여금 5
(차) 감가상각누계액 5 (대) 감가상각비 5

 

4. 기타 내부거래

(1) 수익비용의 상계제거

전기분은 자동반영되므로 당기분만 분개함

 

(2) 채권채무의 상계제거

당기말 잔액만 분개함

 

(3) 매출채권의 처분

내부거래에서 발생한 매출채권의 처분(매출채권 잔액은 없음, 매입채무만 남아있음)

매출채권의 처분
(차) 매입채무 XXX (대) 단기차입금 XXX

 

(4) 대손상각비

1) 대손충당금을 인식한 회계연도(1차연도)

매출채권 대손충당금의 연결제거분개
(차) 매입채무 100 (대) 매출채권 100
(차) 대손충당금 10 (대) 대손상각비 10

 

2) 대손충당금을 인식한 다음 회계연도(2차연도, 매출채권을 회수한 경우)

매출채권 대손충당금의 연결제거분개 - 하향거래
(차) 대손충당금 10 (대) 이익잉여금 100
매출채권 대손충당금의 연결제거분개 - 하향거래
(차) 대손충당금 10 (대) 이익잉여금 8
          비지배지분 2

 

5. 내부미실현손익과 자본항목

(1) 연결당기순이익

1) 지배기업 소유주 귀속 순이익

지배기업 소유주 귀속 순이익 = (지배기업 당기순이익 - 배당수익 ± 하향거래 내부미실현손익) - (종속기업 당기순이익 ± 상향거래 내부미실현손익) x 지배기업 지분율 - 지배력획득일 차이 중 상각액)
지배기업 소유주 귀속 순이익(version 2) = 지배기업 별도이익 + 종속기업 별도이익 x 지배기업 지분율 - 지배력획득일 차이 상각액

🖍 별도 재무제표에서 지분법 적용시 배당수익 대신에 지분법 이익을 차감함

 

2) 비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비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 (종송기업 당기순이익 ± 상향거래 내부미실현손익) x 비지배주주 지분율 - 지배력획득일 차이 중 상각액
비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 종속기업 별도이익 x 비지배주주 지분율 - 지배력획득일 차이 중 상각액

 

(2) 연결재무상태표 자본항목

1)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중 이익잉여금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이익잉여금 = (지배기업 기말이익잉여금 - 하향거래 기말 내부미실현이익 잔액) + (종속기업 기말이익잉여금 - 종속기업 지배력획득일 이익잉여금 - 상향거래 기말 내부미실현이익 잔액) x 지배기업 지분율 - 지배력획득일 차이 상각누계액

 

2) 비지배지분

비지배지분 = (종속기업 기말 순자산 장부금액 - 상향거래 기말 내부미실현이익 잔액) x 비지배주주 지분율 + 비지배지분분 지배력획득일 차이 중 미상각잔액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펭귄협동조합

펭협

활동하기